2024. 2. 5. 12:45ㆍ구름톤 트레이닝
포트폴리오 작성시 고려 사항
1. 이력서보단 구체적으로, 자소서 보다는 덜 구체적으로 => 두 개의 사이라고 생각하면 됨
2. 수많은 경쟁자들 사이에서 '나'를 어필할 수 있어야 한다.
3. 다양한 경험 중 하나의 통일된 주제와 해당 직무 관련된 것을 위주로 쓴다.
=> 어필하고 싶은 분명한 명분을 생각하고 넣자
=> 다양한 회사에는 다양한 포트폴리오가 필요하다. => 회사별로 다르게 작성, 조금씩 수정
4. 가독성이 좋은 서류 만들자 => 면접관 (서류 심사 하는 사람)은 시간이 적어 슥 본다. (중요)
5. 이 서류에 관하여 어떤 질문도 대답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한다.
포트폴리오 형식
PDF : 고정된 형태로 조회할 수 있음, 출력 가능, 자유도가 높다 (결과물 차이가 심함)
노션 : 신흥 강자, 개인 디자인 능력 필요 X, 링크로 공유 가능,
출력이 어려움 => pdf로 출력가능하나 여러 페이지시 힘듬
웹 페이지 : 어필은 될 수 있으나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
포트폴리오 구성
summary 페이지
첫 장에 나의 모든 것을 써줘라 = > 이력서에 가깝게 쓰기
1. 자기소개 - 이름, 연락처, github 주소, 블로그 주소
2. 학력
3. 경력 : 인턴 가능
4. 대외 활동 : 동아리, 사이드 프로젝트
5. 수상 및 자격
6. 프로젝트
4~6번은 어느 기관, 진행기간, 프로젝트 명만 한줄로 쓰기 => 많다면 top 3만 (회사 자격 요건 위주로)
7. 기술 스택
세부 페이지 - 프로젝트별 1장 ~ 2장
1. 프로젝트 개요 : 간략하게 2~3줄, 기능과 목적, 진행시기와 기관
2. 역할 : 기술별 역할을 전체와 내가 한 것 => 팀장일시 적어주기,
3. 기술 스택 : 여기서 쓴 기술 쓰기 (정말 자세하게 쓰기)
4. 문제 해결 경험과 배운 점 : 구체적인 내용으로 써야 한다, 기술적인 요소로
5. 결과 및 성과 : 정량적으로 표현 (포장), 유저 수, 개발 완료 후 공모전 좋은 피드백 받음, 배포예정 등등
6. 서비스 링크 or github 링크
7. 설계 기획, 이미지, 디자인
포트폴리오를 위한 좋은 습관
노션 : 개인 기록용, 모든 내용 꼼꼼히
=> 개인용 : 체계화된 나의 메모장, 일정, 에러 해결, 학습 내용, 스터디, 모든 기록
=> 협업용 : 전체 공유, 멤버간 공유
github : 소스 코드 관리 목적, 기술적인 공부
1. 깃 사용법 익히기 : add -> commit -> push
2. repository 자주, 많이 생성하기 => 과제, 팀프젝, 스터디 내용, 공부 내용
3. readme 잘 작성하기 => 구체적이지만 길지않게, 길면 링크로 빼라, (설명, 특징, 빌드 실행방법, 사용예시, 데모영상) 있으면 좋음
4. code 형상 관리 => 브랜치 관리해보기, 형상 관리/협업 필수, 잔디 채우면 좋으나 유의미하게 채우기
5. issue 관리 => 에러메세지 쓰고 원인과 시도 그 후 해결 방식, 의견 교환 => 상단에 탭이 있음
6. 기타 => profile readme 쓰기, pin 해두기, pull, push
블로그 : 특정 주제를 승격시켜 쓰기
1. 학습과 성장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는 장치, 있으면 합격 확률을 조금 높힐 수 있다.
2. 노션에 쓴 메모를 조금 정제해서 쓰기, 트러블 슈팅, 학습정리
'구름톤 트레이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름톤 트레이닝 3일차 - html, css 과제 만들기 (1) | 2024.02.07 |
---|---|
구름톤 트레이닝 2일차 - html,css (2) | 2024.02.06 |
구름톤 트레이닝 1일차 - html, css 기초 (0) | 2024.02.05 |
구름 오리엔테이션 (0) | 2024.02.02 |
구름톤 트레이닝 지원 및 면접 (0) | 2024.02.01 |